<p></p><br /><br />중국에 대거 진출했던 우리나라 기업들이 현지 공장의 운영을 중단하거나 아예 철수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권오혁 베이징 특파원이 더넓은뉴스에서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2012년 문을 연 롯데 백화점 톈진 2호점, <br><br>7년만에 영업을 중단했습니다. <br> <br>중국 소비자들로 붐비던 개장 초기의 화려했던 매장 모습은 더이상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 <br>[궈잉 / 톈진 시민] <br>"중국 시장이 커지면서 (중국) 쇼핑몰들의 수준도 계속 좋아지고 있어요. (롯데가 문을 닫은 건) 시장 경쟁 때문이죠." <br> <br>마트 사업을 완전히 철수한 롯데는 백화점도 철수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. <br><br>사드 보복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중국 내에서 롯데의 적자는 4년 간 3500억 원 규모로 늘어났습니다. <br><br>한 때 톈진 경제를 먹여살리다시피 했던 삼성전자 스마트폰 제조공장은 지난 연말 문을 닫았습니다. <br> <br>[권오혁 특파원] <br>"삼성전자 톈진공장은 문을 닫은 지 3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처분 과정이 마무리되지 않아 그대로 방치된 상태입니다." <br><br>화웨이 등 값싼 토종 브랜드에 밀려 삼성 스마트폰의 시장 점유율은 떨어지는데, 현지 인건비는 매년 10% 이상 오르자 철수를 결정한 겁니다. <br><br>베이징 현대차 제1공장은 다음 달부터 가동을 중단합니다. <br> <br>공장 앞 마당에는 출고 안 된 신차들이 빼곡하게 세워져 있습니다. <br><br>한 때 연간 백 만대를 만들어 팔던 현대차의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1공장이 먼저 구조조정 대상이 됐습니다. <br><br>[베이징 현대차 제1공장 관계자] <br>"5월이면 여기 설비도 빠지고 공장 문을 닫아요. 요새 계속 감원도 하고 있고요." <br> <br>[박한진 / KOTRA 중국지역본부장] <br>"과거 중국의 시장은 양적으로 팽창만 했습니다만 지금 다변화가 되고 있고 또 현재는 중국에 없는 새로운 부분을 찾고 있습니다." <br> <br>[권오혁 특파원] <br>"기회의 땅, '차이나 드림'이라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. 그러나 13억 거대 시장을 포기할 순 없는 게 한국 기업들이 처한 현실입니다. 중국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고민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권오혁입니다. " <br> <br>hyuk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위보여우(VJ) <br>영상편집: 이재근 <br>그래픽: 박정재 <br><br>